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
051-633-3812
라이브 스트리밍
기대효과
• 비전문가: 행사 송출을 직접 해볼 수 있어, 작은 규모의 스트리밍은 자율적으로 운영 가능
• 전문가: 장비·네트워크·소프트웨어 최적화까지 이해해 대규모 행사도 안정적 송출 가능
• 조직 관점: 내부 인력이 기술을 이해하게 되어, 외주 비용 절감 + 자체 운영 역량 강화
| 1회차 라이브 스트리밍 이해 & 전략 기획 |
이론 (전문 과정) | • 기업/대학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이 필요한 이유와 글로벌 트렌드 • 오프라인 행사 vs 온라인 송출의 비용·효과 분석 • 플랫폼별 전략(YouTube Live, Zoom, Teams, 자체 서버 기반 송출 비교) |
|---|---|---|
| 실습 (기초) | • 우리 조직 상황을 반영한 행사 기획 시뮬레이션 (목표, 타깃, 형식, 플랫폼 선택) |
|
| 2회차 장비·환경 세팅 마스터 |
이론 (전문 과정) | • 카메라·캠코더·스위처·오디오 인터페이스 심화 이해 • 네트워크 안정성 관리 (유선 vs 무선, 전송 속도, 백업 라인 구축) • 다중 플랫폼 동시 송출 기술(RTMP, CDN 활용) |
| 실습 (기초) | • 카메라·마이크 직접 연결 & OBS 기본 세팅 • 조명 3점 라이팅 체험 실습 |
|
| 3회차 송출 소프트웨어 & 고급 기능 |
이론 (전문 과정) |
• OBS Studio 고급 설정 (멀티비트레이트, 필터링, CPU/GPU 최적화) • vMix·Wirecast 등 전문가용 툴 비교 • 그래픽·자막·하이라이트 영상 실시간 삽입 방법 |
| 실습 (심화) | • 팀별 OBS 운영: 멀티카메라 전환, 크로마키(가상 배경), 화면 분할 송출 • 기업/대학 행사 시뮬레이션 송출 (예: 신입생 OT, 기업 설명회) |
|
| 4회차 라이브 연출·운영 & 위기 대응 |
이론 (전문 과정) | • 진행자·연사 연출법 (화면 구성, 발표자료 송출, 카메라 동선) • 위기 관리 : 네트워크 장애, 음향 사고, 장비 오류 발생 시 대응 시나리오 • 데이터 분석 : 송출 후 조회수·참여도·채팅 반응 분석 방법 |
| 실습 (심화) | • 실전 운영 시뮬레이션: 사전 대본 작성, 팀별 역할 분담(진행자·송출자·기술 지원자) • 댓글·질문 실시간 대응 연습 | |
| 5회차 실전 프로젝트 & 전문가 피드백 |
이론 (전문 과정) |
• 팀별 완전한 라이브 방송 제작(기획–세팅–송출–운영–종료까지 풀 프로세스) • 전문가 & 동료 평가 (영상 퀄리티, 안정성, 소통 능력) |
| 실습 (전문 과정) | • 기업·대학 행사별 Best Practice 사례 공유 (학술대회, 신제품 발표회, 채용 설명회 등) • 스트리밍 트렌드 확장: AI 자막 자동 생성, 다국어 실시간 번역, 메타버스 |
고객만족센터
051-633-3812오전10시~오후8시